본문 바로가기
건강과 미용

안면 디자인 관리 4편 ; 근육 근막의 깊이에 따라 다른 관리?

by 바디 디자이너 2025. 3. 30.

천층섬유(superficial fibers)”와 “심층섬유(deep fibers)”는 근육이나 근막 구조에서 깊이와 기능에 따라 구분됩니다.

특히 얼굴, 목, 저작근처럼 여러 층으로 구성된 구조에서 이 개념이 매우 중요해요.


🌟 천층섬유 vs 심층섬유: 구조와 기능 비교

구분천층섬유 (Superficial Fibers)심층섬유 (Deep Fibers)
📌 위치 피부에 가까운 바깥층 뼈나 관절 가까운 내부층
🧠 주요 역할 표정, 미세한 움직임, 표층 근막 연결 안정성, 힘 전달, 깊은 지지 구조
🧩 연결 구조 SMAS(얼굴넓힘줄계통), 피하 근막 심부 근막, 뼈막, 관절 주위
🧘‍♀️ 반응 속도 빠르지만 지속성은 낮음 느리지만 지속적인 수축 유지
💆‍♀️ 마사지 반응 피부 자극, 미용관리 중심 깊은 자극 필요, 근육 교정 중심

✨ 예시로 보는 천층 vs 심층 근섬유

🟠 천층섬유 (예: SMAS 관련)

  • 대관골근, 소관골근, 광범위한 얕은 안면근육들
  • 피부 움직임, 표정, 탄력 형성에 관여
  • 리프팅이나 피부관리 시 자극되는 층

🔴 심층섬유 (예: 저작근 심층층)

  • 교근의 심층부, 내익상근, 측두근
  • 턱관절 안정화, 저작력 유지
  • 얼굴 비대칭, 하악 틀어짐 교정 시 핵심

💡 활용 팁: 근막 관리는 층별로 구분하자!

  • 리프팅 마사지 = 천층섬유 중심
  • 턱비대칭 교정 or 저작근 과사용 조절 = 심층섬유 중심
  • 층별 근육과 근막을 구분하여 자극하면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인 안면 디자인 관리가 가능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