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관리15

[건강 칼럼] 남성에게도 생기는 여성형 유방, 비만 때문일까요? 남성인데도 가슴이 여성처럼 부풀어 오른 것 같아 고민되신 적 있으신가요?청소년기나 중년 이후 남성에게도 **‘여성형 유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의학적으로는 이를 **유방 이상 비대증(Gynecomastia)**이라고 합니다.단순한 외모 문제로 넘기기보다는, 호르몬 균형, 비만, 근육 구조 등과도 연관이 있기 때문에오늘은 그 원인과 관리법을 의학적, 근육학적 관점에서 정리해보겠습니다.사춘기 남성의 20%는 여성형 유방을 경험합니다사춘기에는 호르몬 변화가 매우 급격히 일어납니다.이 시기에 **에스트로겐(estrogen)**과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의 균형이 무너지면일시적으로 유방 조직이 비대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약 14세 전후 소년의 65% 이상이 유방 이상 비대증을 겪으며대부분.. 2025. 4. 5.
허리 통증의 핵심 원인, 천장관절(Sacroiliac Joint)과 골반 축(Pelvic Axis)을 아시나요? "허리가 아프면 애 하나 더 낳고 조리 잘하면 낫는다"는 말, 들어보셨나요?사실 이 말은 옛 어른들의 지혜일 뿐만 아니라, 골반 및 척주 안정화에 대한 해부생리학적 진실이기도 합니다.오늘은 **천장관절(Sacroiliac Joint)**과 그에 연결된 인대(Ligament), 내장기(Viscera), 근막(Fascia),그리고 **출산 전후의 호르몬 변화(Relaxi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이란?**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은 **천골(Sacrum)**과 장골(Ilium) 사이에 위치한 관절로,**요추(Lumbar Vertebrae)**와 **골반대(Pelvic Girdle)**를 연결해주는 구조입니다.이 관절은 다음의 인대들에 의해 안정.. 2025. 3. 31.
안면 디자인 관리 4편 ; 근육 근막의 깊이에 따라 다른 관리? “천층섬유(superficial fibers)”와 “심층섬유(deep fibers)”는 근육이나 근막 구조에서 깊이와 기능에 따라 구분됩니다.특히 얼굴, 목, 저작근처럼 여러 층으로 구성된 구조에서 이 개념이 매우 중요해요.🌟 천층섬유 vs 심층섬유: 구조와 기능 비교구분천층섬유 (Superficial Fibers)심층섬유 (Deep Fibers)📌 위치피부에 가까운 바깥층뼈나 관절 가까운 내부층🧠 주요 역할표정, 미세한 움직임, 표층 근막 연결안정성, 힘 전달, 깊은 지지 구조🧩 연결 구조SMAS(얼굴넓힘줄계통), 피하 근막심부 근막, 뼈막, 관절 주위🧘‍♀️ 반응 속도빠르지만 지속성은 낮음느리지만 지속적인 수축 유지💆‍♀️ 마사지 반응피부 자극, 미용관리 중심깊은 자극 필요, 근육 교정 중.. 2025. 3. 30.
교근(Masseter Muscle) 관리 교근(Masseter Muscle) 관리는 여러 해부학적, 기능적, 그리고 통증 유발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음은 교근 관리에 대한 주요 내용 정리입니다:1. 교근 해부학기시: 관골궁 전반 2/3 지점, 상악골 관절돌기 (천층섬유); 관골궁 후반 1/3 지점 (심층섬유)정지: 하악골 외측 하부 1/2 (천층섬유); 하악각, 하악골 관상돌기 외측면 (심층섬유)기능: 하악골을 거상(저작), 후퇴(악관절 후방 밀림)신경: 삼차신경 하악지 전지2. 교근 기능천층섬유: 하악골을 올려 저작 기능 수행심층섬유: 하악골을 후퇴시켜 악관절 후방 밀림 유도기능적 문제: 단축성 긴장이 발생하면 입을 벌릴 수 없음3. 근육 및 근막 연결성교근과 측두근: 협력하여 저작기능 수행, 측두하악관절 안정성 유지교.. 2025. 3. 30.
안면 디자인 관리 2편 ; 전후근막시스템 이해 1. 두개안면골의 움직임과 얼굴 디자인안면 디자인 관리를 위해서는 두개안면을 구성하는 뼈의 움직임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두개안면골은 총 15종 23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짝을 이루지 않는 한 개의 뼈들은 굴곡(Flexion)과 신전(Extension) 움직임을 수행합니다.굴곡(Flexion) 시: 두개골의 좌우가 멀어지고 앞뒤가 가까워지며, 얼굴이 넓어지는 형상이 됩니다. 이는 동양인의 얼굴형과 유사합니다.신전(Extension) 시: 앞뒤가 멀어지고 좌우가 가까워지며, 갸름한 얼굴형이 됩니다. 이는 서양인의 얼굴형과 비슷합니다.따라서 두개골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안면 디자인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2. 전후근막시스템과 안면 탄력모든 근육에는 기시점(Origin, 고정점) 과 정지점(I.. 2025. 3. 28.
[의학컬럼] 우리 몸에도 중심축이 있다고? 뼈들의 숨겨진 이야기! 우리 몸은 어떻게 서 있고, 움직일 수 있을까요? 바로 뼈들이 서로 연결되어 균형을 잡아주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뼈들도 그냥 아무렇게나 있는 게 아니라, 어떤 뼈는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어떤 뼈는 움직임을 돕는 역할을 한답니다. 오늘은 우리 몸 속 뼈들의 숨겨진 비밀을 알아볼까요? 😊1. 우리 몸도 ‘축’이 있다!자전거 바퀴를 떠올려 보세요. 바퀴의 중심축이 있어야 바퀴가 흔들리지 않고 잘 돌아가죠? 우리 몸도 마찬가지예요! 중심을 잡아주는 ‘축’ 역할을 하는 뼈들이 있고, 이 뼈들 덕분에 우리가 똑바로 서 있을 수 있어요.이 축을 담당하는 뼈들은 짝이 없는 ‘외로운 뼈’들이에요. 예를 들어:머리: 접형골(나비뼈), 후두골(뒤통수뼈), 전두골(이마뼈)등과 허리: 척추뼈(특히 천골!)골반: 천골.. 2025. 3.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