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가14

아취체위(Archer Pose): 요방형근과 대퇴사두근 강화로 허리와 무릎을 바로 세우는 자세 아취체위는 몸의 전후 균형을 바로잡고 하체와 척추의 안정성을 회복하는 데 효과적인 요가 자세입니다. 한 발로 서서 다리와 팔을 반대 방향으로 뻗는 이 자세는 고관절, 요추, 무릎, 발목에 이르기까지 깊은 균형근육을 자극합니다. 특히 요가지도자라면 아취체위를 통해 허리 통증, 무릎 불안정, 골반 비대칭 등 기능성 장애를 가진 회원을 효과적으로 트레이닝할 수 있어야 합니다.1. 아취체위란?아취체위는 마운트 자세(Tadasana)를 기본으로, 한 손은 발목을 잡고 다른 팔은 전방으로 뻗으며 상체를 숙여 균형을 유지하는 자세입니다. 전신의 사선 구조를 정렬하며 몸의 전후 안정근육과 심부 감각을 자극하여 척추 정렬과 관절 안정성을 회복시킵니다.2. 행법 요령1. 마운트 자세에서 양발을 모으고 선다.2. 오른쪽 무.. 2025. 4. 5.
강한 중심과 유연한 허리를 만드는 요가 – 무사체위(Virabhadrasana)의 힘 요가에서 ‘무사체위(Virabhadrasana)’는 단순한 힘의 자세를 넘어서, 중심의 뿌리를 깊게 내리고 척추와 고관절을 회복시키는 깊이 있는 아사나입니다.이 자세는 마음의 집중력과 신체의 안정성을 동시에 키워주는 동작으로, 특히 요가지도자라면 하체 기능저하, 요추 불균형, 복부냉증, 내장기 순환저하가 있는 회원들에게 적극 활용할 수 있습니다.무사체위란?산스크리트어 ‘비라(Vira, 영웅)’와 ‘바드라(Bhadra, 축복)’에서 유래한 무사체위는 내면의 힘을 기르고 불균형한 자세를 바로잡는 데 핵심적인 요가 자세입니다. 견상체위에서 이어지는 연속동작으로, 척추를 곧게 펴고 양팔을 머리 위로 뻗은 상태에서 한쪽 무릎을 90도 굽혀 깊이 중심을 잡습니다.요가지도자가 기억해야 할 행법 팁1. 견상체위(Adh.. 2025. 4. 5.
[요가 이야기] 마운트 아사나(Tadasana) 요가지도자 트레이닝 매뉴얼 1. 개요마운트 아사나(Tadasana)는 모든 요가 동작의 기초이자 인체 균형을 잡아주는 핵심적인 자세입니다. 이 자세를 통해 신체 정렬을 바로잡고, 심부 근육을 활성화하며,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본 매뉴얼은 요가지도자를 위한 전문적인 트레이닝 지침으로, 회원의 체형 교정과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합니다.2. 마운트 아사나의 기능적 의미체형 정렬: 골반, 척추, 두경부 정렬을 개선하여 신체 균형을 유지.심부 근육 활성화: 후경골근(Tibialis Posterior), 장무지굴근(Flexor Hallucis Longus), 장지굴근(Flexor Digitorum Longus) 등 심부 근육을 자극.호흡 및 순환 개선: 가슴을 개방하여 폐활량을 증가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정신적 안정:.. 2025. 3. 26.
[의학칼럼] 2편-알아두면 유용한 해부학 용어! 쉽게 배워보자 1. 해부학 용어, 왜 알아야 할까?여러분은 혹시 운동하다가 "몸쪽으로 당겨주세요!"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나요? 혹은 피부관리사에게 "깊은 층까지 흡수됩니다"라는 설명을 들었을 때 정확한 의미가 궁금하셨나요?해부학 용어는 우리 몸의 위치나 방향을 설명하는 데 꼭 필요한 개념입니다.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몇 가지 기본 개념만 익혀도 운동할 때나 건강 관리를 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오늘은 해부학 용어를 쉽게 풀어서 알려드릴게요!2. 해부학적 자세란?우리 몸의 위치와 방향을 설명할 때는 기준이 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해부학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 자세를 사용합니다. ✅ 해부학적 자세란?차렷 자세에서 양손을 편 채 손바닥을 앞쪽으로 향하게 한 상태모든 위치와 방향은 이 자세를 기준으로 설명됨!3. .. 2025. 3. 25.
[요가 이야기] 서서 등 펴기(Uttanasana) 매뉴얼 – 요가지도자를 위한 회원 트레이닝 가이드 서서 등 펴기 아사나(Uttanasana)의 개요서서 등 펴기(Uttanasana)는 요가의 기본적인 전굴(前屈) 자세로, 인체의 체성 영역뿐만 아니라 내장 기관과 중추신경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아사나입니다. 특히, 척수와 척수신경을 자극하고 경막(duramater)을 신장시키며, 뇌척수액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신진대사 (metabolizm)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경락을 풀어 자가 치유 능력을 높이고, 몸의 균형과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서서 등 펴기 아사나 수행 방법1. 기본 자세 준비두 발을 붙이고 반듯이 선 자세를 취합니다.숨을 들이마시며 양팔을 하늘로 곧게 뻗습니다.※ pelvic floor muscles 을 살짝 조여주세요.2. 상체 숙이기숨을 천천히 내쉬며.. 2025. 3. 22.
[근육 이야기] 승마살은 없애고, 힙업하자! 대둔근(Gluteus Maximus Muscle) 관리 1. 해부학적 고찰 (Anatomy)기시(Origin)장골면 후상부, 천골 외측면, 미골 외측면정지(Insertion)대퇴골 대전자 후외측, 대퇴골 후부 둔근조선, 장경인대신경(Nerve)하둔신경(L5~S2)기능(Function)골반 고정 시 대퇴 신전 및 외회전대퇴 고정 시 골반 후방경사 및 요추 후만 조절보행 시 내딛는 다리의 굴곡 조절 및 골반 안정화대둔근은 신체에서 가장 큰 근육 중 하나로, 엉덩이를 감싸며 깊이 위치한 중둔근과 소둔근을 덮고 있다. 이 근육은 1형 적근(slow twitch muscle fiber)으로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며, 피로감이 적고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2. 기능(Function)대둔근은 보행, 앉기, 서기, 점프 등의 동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2025. 3.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