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체사색(칼럼)

[건강 칼럼] 남성에게도 생기는 여성형 유방, 비만 때문일까요?

by 바디 디자이너 2025. 4. 5.

남성인데도 가슴이 여성처럼 부풀어 오른 것 같아 고민되신 적 있으신가요?
청소년기나 중년 이후 남성에게도 **‘여성형 유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의학적으로는 이를 **유방 이상 비대증(Gynecomastia)**이라고 합니다.

단순한 외모 문제로 넘기기보다는, 호르몬 균형, 비만, 근육 구조 등과도 연관이 있기 때문에
오늘은 그 원인과 관리법을 의학적, 근육학적 관점에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사춘기 남성의 20%는 여성형 유방을 경험합니다

사춘기에는 호르몬 변화가 매우 급격히 일어납니다.
이 시기에 **에스트로겐(estrogen)**과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의 균형이 무너지면
일시적으로 유방 조직이 비대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약 14세 전후 소년의 65% 이상이 유방 이상 비대증을 겪으며
  • 대부분은 1~3년 안에 자연적으로 소멸됩니다
  • 다만 드물게는 수술적 절제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변화는 양측성으로 생기기도 하지만, 한쪽만 나타나는 일측성도 종종 있습니다.


중년 남성의 여성형 유방, 그냥 나이 탓일까요?

성인 남성에서도 여성형 유방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호르몬 불균형, 간 기능 저하, 특정 약물 복용, 대사 질환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특히 50대 이상 중년 남성
근육량 감소, 대사율 저하, 복부 및 흉부 비만으로 인해
유선 조직 주변 지방이 증가하고 유방이 불룩해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꼭 내분비 전문의나 유방외과의 진료를 통해
단순 지방 축적인지, 진짜 유선 비대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방이 많은 가슴은 유방 이상 비대증일까?

남성 중에는 가슴에 지방이 많이 쌓여 마치 유방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유사 유방 이상 비대증(Pseudogynecomastia)**라고 하며
진짜 유방 조직이 커진 것이 아닌 지방 조직의 증가에 해당됩니다.

  • 원인: 비만, 운동 부족, 대사 이상
  • 해결: 지방 감소, 근력 강화, 림프 흐름 개선이 핵심입니다

근육학적으로 본 남성 유방의 관리법

해부학적으로 유방은 대흉근(pectoralis major) 위에 얹혀 있으며,
소흉근(pectoralis minor), 견갑골(scapula), **쇄골(clavicle)**의 움직임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 유방 림프의 배액 경로: 액와(axilla), 쇄골하(subclavian vein), 내흉동맥
  • 주변 근육: 대흉근, 소흉근, 전거근, 흉쇄유돌근

지방형 유방 개선을 위한 근육학적 접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흉근 강화

  • 팔을 좁게 모은 push-up 추천
  • 벤치프레스보다 밀어내는 힘을 모아주는 동작이 효과적

2. 소흉근 유연성 개선

  • 소흉근이 단축되면 흉곽 움직임 제한 → 림프 흐름 저하

3. 견갑골의 움직임 확보

  • 견갑골이 굳으면 쇄골 움직임 제한 → 흉곽 전체 순환 저하
  • 견갑골 안정화 운동, 회전근개 스트레칭이 도움

4. 림프 순환 촉진

  • 쇄골 아래 림프마사지, 액와부 림프 자극
  • 체온 유지, 복식호흡도 도움이 됩니다

해부학적으로 본 유방 위치

최근 해부학 교육 자료에 따르면,
남성 유방은 대흉근의 근막 위에 유방 주머니(fat pad or glandular pouch) 형태로 얹혀 있습니다.
유선조직, 림프관, 혈관(내흉동맥, 외흉동맥), 신경 등은
모두 액와, 쇄골하, 견갑부 근육군과 연관이 있습니다.

따라서 가슴지방을 단순히 지방흡입으로만 해결하려 하기보다는,
전신의 근막 흐름, 자세, 림프 배액을 함께 고려한
근육학 기반의 접근이 더 안전하고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바디디자인스쿨 / 결론

  • 사춘기 남성의 유방 비대는 흔하며, 대부분 자연 회복됩니다
  • 성인 남성은 내분비계 이상, 약물, 비만, 근육 약화 등을 원인으로 유방 비대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진단은 전문의에게, 관리와 회복은 운동·영양·자세 관리의 복합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 유방은 단순한 '지방 덩어리'가 아니라, 근막 위에 얹힌 림프 순환의 중요한 중계소입니다

가슴의 모양이 달라졌다고 자신감을 잃을 필요는 없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자세, 호흡, 운동을 통해 건강한 가슴과 체형을 만들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