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이 근육과 다리 라인, 알고 보면 '대둔근과 대퇴근막장근'의 게임!
– 힙업, 고관절 통증, 무릎 안정성까지 결정하는 두 근육의 해부학적 비밀 –
🍑 엉덩이 근육이 단순히 커진다고 ‘힙업’이 되는 게 아니다?

많은 분들이 힙업 운동을 할 때
단순히 스쿼트나 런지를 반복하면 탄탄한 엉덩이와 다리 라인이 만들어진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진짜 힙업, 아름다운 엉덩이 곡선, 슬림한 허벅지 라인은
단순히 근육의 양이 아니라
**"어떤 근육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오늘은 그 핵심인 두 가지 근육,
대둔근과 대퇴근막장근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대둔근: 엉덩이 뒤편의 파워와 안정성의 왕
대둔근(gluteus maximus)은 인체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근육입니다.
하지만 이 근육도 단순한 덩어리가 아닙니다.
두 가지 섬유 조합, 즉
- 안정성과 지구력을 담당하는 적근(약 70%)
- 파워와 순간 폭발력을 담당하는 백근(약 30%)
이 절묘하게 섞여 있어요.
▶ 어디서 시작하고 어디로 연결될까?
- 기시부(시작점):
장골의 후방, 천골, 미골, 기립근 근막, 천골좌골결절인대 등 - 정지부(끝점):
대부분이 **장경인대(iliotibial tract)**를 따라 내려갑니다.
그중 약 75%는 천층의 대퇴근막장근과 합쳐지며, 다리의 근막과 무릎 안정성과 연결됩니다.
📌 대퇴근막장근: 허벅지 바깥 라인을 만드는 핵심 근육
대퇴근막장근(tensor fascia lata)은 골반 앞쪽에서 시작해
장경인대와 연결되며 허벅지 바깥쪽 전체를 감싸는 ‘근막슬링’을 형성합니다.
이 근육은 고관절의 굴곡, 외전, 그리고 무릎 안정성까지 담당하죠.
▶ 근육 섬유에 따라 역할이 다르다
- 전부섬유
→ 장골극에서 시작해 장경인대 앞쪽과 연결
→ 고관절 굴곡, 슬개골 움직임, 미용적 다리 라인 형성에 관여 - 후외측섬유
→ 장골능 후방에서 시작해 장경인대 뒤쪽과 연결
→ 무릎 외측 안정성, 고관절 내회전에 작용
🧠 대둔근과 대퇴근막장근, 어떻게 연결될까?
✅ 하부 대둔근 + 후외측 대퇴근막장근 섬유 → 장경인대 후부
- 기능: 고관절의 굴곡 시 안정화, 무릎의 외측 안정성
- 활용 분야:
▸ 골반 전방경사 조절
▸ O다리, 무릎 불안정성, 보행 시 통증 개선
▸ 지구력 & 밸런스 운동에 관여
✅ 상부 대둔근 + 전내측 대퇴근막장근 섬유 → 장경인대 전부
- 기능: 고관절 신전, 외회전, 슬개골 움직임, 허벅지 전면 라인
- 활용 분야:
▸ 힙업, 탄력 있는 엉덩이 곡선
▸ V라인 다리, 말벅지 해소
▸ 파워풀한 하체 운동(런지, 스텝업 등)
💡 관리 포인트: “어디를 풀고, 어디를 강화할 것인가?”
✔ 힘과 균형을 만드는 목적이라면
→ 하부 대둔근 + 장경인대 후부 + 대퇴근막장근 후외측섬유
→ → 보행 안정성, 허벅지 외측 균형, 무릎 보호
✔ 고관절 가동성과 슬림한 다리 라인을 원한다면
→ 상부 대둔근 + 장경인대 전부 + 대퇴근막장근 전부섬유
→ → 힙업, 앞허벅지 슬림화, V라인 강화
🧘♀️ 전문가 추천: 이런 분께 꼭 필요합니다!
- 운동은 해도 힙업이 안 되는 분
- 허벅지 바깥살이 튀어나온 분
- 무릎 옆 통증, O다리 증상 있는 분
- 하체 부종이나 셀룰라이트가 고민인 분
- 자세 불균형으로 골반 틀어짐이 있는 분
🎯 마무리 정리
포인트관련 근육효과
안정성/지구력 | 하부 대둔근 + 장경인대 후부 | 보행 안정, 무릎 보호 |
파워/미용 | 상부 대둔근 + 장경인대 전부 | 힙업, 슬림 허벅지 |
무릎 통증 개선 | 대퇴근막장근 후외측 | 외측 안정성 강화 |
고관절 가동성 | 대퇴근막장근 전내측 | 골반 굴곡 회복 |
'건강과 미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체전기와 건강의 연결고리 (0) | 2025.04.14 |
---|---|
노화가 아닌 질병, 근감소증 – 예방이 치료입니다 (0) | 2025.04.12 |
웃을 때 얼굴이 달라 보여요? (0) | 2025.04.07 |
청년을 위한 ‘몸과 마음 회복법’ – 스트레스를 날리는 동적·정적 운동법 (0) | 2025.04.02 |
전립선 건강, 아침 루틴 운동과 커피 한 잔으로 시작해보세요. 커피 대체 식품 뭐가있을까?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