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청년들의 표정에서 밝은 미래를 읽기란 쉽지 않습니다. 최근 열린 국회 토론회에서는 청년 범죄가 증가하는 이유로 경제적 불안과 사회 시스템의 부재가 언급되었지요. 마약, 도박, 사이버 범죄… 그 이면엔 불안과 포기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습니다.
30년 현장 경험을 가진 물리치료사이자 보건학 박사로서, 자식을 둔 아버지로서, 저는 이런 위기의 시대에 청년들에게 단순하지만 강력한 제안을 드리고자 합니다. 몸을 움직여 마음을 지키는 법, 바로 동적·정적 운동입니다.
1. 왜 ‘운동’이 마음을 지킬까?
스트레스는 마음에만 머무르지 않습니다. 어깨가 무겁고, 가슴이 답답하며, 이유 없는 피로가 몰려오지요. 이것은 곧 근육의 긴장, 자율신경의 불균형, 호흡 패턴의 왜곡으로 이어집니다.
반대로, 몸을 제대로 움직이면 뇌는 안정 호르몬을 분비하고, 무너진 밸런스를 회복시켜줍니다. 운동은 단순한 체력 단련이 아니라, 마음 회복을 위한 과학적 방법입니다.
2. 몸과 마음을 위한 동적 운동 3가지
① 호흡과 함께하는 워킹 명상 (10분)
호흡에 집중하며 천천히 걷는 것만으로도 뇌파는 안정되고, 몸은 이완됩니다. 스마트폰은 잠시 내려놓고, 나무 그늘 아래를 걷는 것만으로도 우울감이 줄어들죠.
② 스트레칭 요가 (15분)
햄스트링, 척추, 어깨 중심의 스트레칭 동작은 척수신경을 자극하고 자율신경 균형에 도움을 줍니다. 특히 고양이자세-아이자세 연결 동작은 불안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③ 리듬 복식 호흡 + 팔 동작 (5분)
가슴을 활짝 열며 양팔을 위로 올렸다 내리는 동작과 함께 깊은 복식 호흡을 반복합니다. 하루 5분이면 머리가 맑아지고, 불안이 옅어집니다.
3. 조용하지만 강한 힘, 정적 운동 2가지
① 긴장 해소를 위한 '프로그레시브 릴랙세이션'
발끝부터 머리까지 각 근육을 5초간 긴장시켰다 풀기를 반복합니다. 이 기법은 병원 정신건강 프로그램에서도 활용되는 과학적 이완법입니다.
② 마인드풀니스 명상 (5~10분)
‘지금 여기’에 집중하며 생각을 바라보는 연습은 불안을 줄이고 자신감 회복에 도움을 줍니다. 스마트폰 대신 내 호흡을 바라보는 5분, 하루를 다르게 만듭니다.
4. 마무리하며 – 시스템이 줄 수 없는 ‘회복력’을 스스로 만드는 법
물론 사회는 청년에게 희망을 줄 책임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시스템이 고장났을 때, 우리는 스스로를 지키는 법도 알아야 합니다.
몸은 마음보다 먼저 변화를 느낍니다. 움직이고, 이완하고, 호흡하며, 내 안의 회복력을 키우는 것. 이것이 지금 우리가 청년에게 전할 수 있는 작지만 강한 힘 아닐까요?
글쓴이 | 현직 물리치료사, 체육학·보건학 박사
정신건강과 근육의 연결고리를 연구하며, 삶의 균형을 찾아주는 '바디디자인스쿨' 운영자
'건강과 미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엉덩이 근육과 다리 라인, 알고 보면 '대둔근과 대퇴근막장근'의 게임! (0) | 2025.04.10 |
---|---|
웃을 때 얼굴이 달라 보여요? (0) | 2025.04.07 |
전립선 건강, 아침 루틴 운동과 커피 한 잔으로 시작해보세요. 커피 대체 식품 뭐가있을까? (0) | 2025.04.02 |
"등에 담 걸리면 꼭 해보세요!" 등 담 풀어주는 스트레칭 BEST 3 (0) | 2025.04.01 |
허리 통증의 핵심 원인, 천장관절(Sacroiliac Joint)과 골반 축(Pelvic Axis)을 아시나요?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