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체사색(칼럼)

[인체사색] 흉강, 호흡, 순환의 해부학 – 트레이너와 요가지도자를 위한 생리학적 접근

by 바디 디자이너 2025. 4. 8.

스트레이너와 요가지도자가 회원을 지도할 때, 단순히 근육의 움직임만 보는 것이 아니라 호흡과 순환, 압력의 균형까지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흉강의 확장과 횡격막의 움직임, 심장의 펌핑과 혈액순환은 운동 중 에너지 대사와 전신 컨디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흉강과 복강의 압력 리듬

인체는 음압(negative pressure)을 형성하는 흉강(thoracic cavity)과 양압(positive pressure)을 가지는 복강(abdominal cavity)의 리듬감 있는 압력 변화로 호흡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 두 공간을 나누는 구조가 바로 **횡격막(diaphragm)**입니다.
횡격막은 돔 형태의 근육성 구조로, 전면은 검상돌기(xiphoid process)에, 후면은 흉추 12번(T12)에 부착되어 흉강과 복강을 해부학적으로 구분합니다.

횡격막의 움직임과 호흡 메커니즘

  • 흡기(inspiration): 횡격막이 수축하며 하강 → 흉강의 부피 증가 → 음압 형성 → 폐 확장 → 대기 중 공기 유입
  • 호기(expiration): 횡격막 이완 및 복부 호기근의 수축 → 흉강 압력 증가 → 폐 수축 → 이산화탄소 배출

흡기 시 횡격막의 하강으로 인해 복부 장기는 아래쪽으로 눌리며 자연스러운 **내장 마사지(visceral mobilization)**가 일어납니다.
이때 작용하는 보조 호흡근육은 다음과 같습니다:

  • 흡기 근육: 사각근(scalene), 상후거근(serratus posterior superior), 흉쇄유돌근(SCM), 외늑간근(external intercostal muscle)
  • 호기 근육: 하후거근(serratus posterior inferior), 내복사근(internal oblique), 복횡근(transversus abdominis),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

흉곽의 구조와 호흡 효율

흉곽(thoracic cage)은 12쌍의 늑골(ribs), 12개의 흉추(thoracic vertebrae), 흉골(sternum)로 구성되며 폐와 심장, 대혈관을 보호합니다.
정상적인 흉곽의 움직임은 흉골의 전방 팽창, 늑골의 외측 회전, 흉추의 신전(extension)을 포함하며, 이는 전후좌우 직경 증가를 통해 폐 확장과 혈류 유입을 최적화합니다.
그러나 둥근 어깨, 과도한 흉추 후만증(kyphosis), 늑간근(intercostal muscle)의 긴장 등은 흉곽의 탄성 감소를 유발하여 호흡 억제와 순환장애로 이어집니다.

심장과 폐, 횡격막의 협응 – 순환의 핵심

심장은 흉강 내에서 횡격막 위쪽에 위치하며, 폐를 통해 유입된 산소는 폐포(alveoli)에서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 → 좌심실 → 대동맥 → 전신으로 퍼집니다.
이때 횡격막의 움직임은 흉강 내 음압을 유지해 **심장 박출량(stroke volume)**과 **정맥환류(venous return)**에 영향을 미칩니다.

  • 흡기 시 음압 증가 → 정맥혈을 심장으로 당김
  • 호기 시 복압 증가 → 정맥혈 상승 보조

결과적으로 호흡은 단순한 가스 교환을 넘어서 전신 혈액순환과 림프 흐름, 장기 기능 조절의 중심 기전입니다.

운동 시 주의할 점: 흉곽과 복부 압력의 조절

트레이너와 요가지도자는 호흡 운동을 통해 흉강과 복강의 압력 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 횡격막이 약하거나 늑골이 눌려 있으면 호흡량이 줄고, 산소 공급 저하로 운동 효율 감소
  • 흉곽이 압축된 상태에서 강한 복압만 유도하면 심혈관계 부담 증가
  • 고정된 늑골이나 흉곽의 움직임 제한은 복부 압력을 비정상화시켜 소화불량, 내장 하수증 등을 유발할 수 있음

따라서:

  • 호흡 기반의 코어 운동을 통해 횡격막 기능 회복
  • 늑골 열림, 흉추 가동성 운동으로 흉곽 확장성 회복
  • 횡격막 스트레칭, 복횡근 활성화 운동을 통해 흉복부 압력 균형 유도

혈액순환과 자가항상성 조절 기능

혈액은 심장에서 나오는 산소포화 동맥혈(arterial blood, 약 20%)과 말초에서 회수되는 정맥혈(venous blood, 약 80%)로 구성됩니다.
혈관은 민무늬근육(smooth muscl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호흡과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순환에 영향을 받습니다. 특히 운동 부족이나 근육 경직은:

  • 기, 혈, 수의 흐름 정체
  • 에너지 순환 효율 저하
  • 중성지방 및 노폐물 축적
  • 만성피로 및 질환 유발

결론: 움직임, 호흡, 순환은 하나의 시스템이다

흉강 내 압력의 리듬, 횡격막의 기능성, 심장 펌핑 작용은 각각 독립된 기능이 아니라, 전신의 대사와 회복을 좌우하는 하나의 생리학적 시스템입니다.
트레이너와 요가지도자는 단순한 근력 운동뿐만 아니라, 호흡을 중심으로 한 전신 순환과 기능 회복을 유도해야 합니다.
오늘 회원의 호흡은 잘 이루어지고 있나요?
그 호흡이 전신을 살리는 순환의 시작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