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질병, 당뇨병. 그 중심에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있다. 인슐린을 이해하면 당뇨 관리의 방향이 보인다.
1. 인슐린이란?
인슐린(insulin)은 췌장(이자)의 베타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당을 조절하는 열쇠 역할을 한다.
식사를 하면 탄수화물이 포도당으로 분해되고, 혈당이 상승한다.
이때 췌장이 인슐린을 분비하여 포도당을 세포 안으로 이동시켜 에너지로 쓰거나 저장하게 한다.
남은 포도당은 간이나 근육에 글리코겐(glycogen) 형태로 저장되며, 일부는 **지방(fat)**으로 전환된다.
2. 당뇨병과 인슐린의 관계
당뇨병은 인슐린 이상으로 인해 혈당 조절 기능이 무너지는 대사질환이다.
● 제1형 당뇨병
ㆍ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이 거의 분비되지 않음
ㆍ주로 소아·청소년기에 발병
ㆍ인슐린 주사 치료가 필수
● 제2형 당뇨병
ㆍ인슐린은 분비되지만, 세포가 반응하지 않음(인슐린 저항성)
ㆍ시간이 지나면서 인슐린 분비도 감소
ㆍ초기엔 식이요법과 경구약물, 필요 시 인슐린 치료 병행
3. 인슐린의 주요 기능 요약
ㆍ혈당 조절 포도당을 세포 내로 이동시켜 에너지로 사용
ㆍ에너지 저장 남은 포도당은 글리코겐으로 저장
ㆍ지방 합성 초과된 포도당은 지방으로 전환되어 저장
ㆍ단백질 합성 근육 형성, 세포 성장 등 대사 작용 관여
4. 인슐린 이상이 초래하는 주요 문제
ㆍ혈당 스파이크: 식후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나 인슐린 작용이 부족해 혈당이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됨
ㆍ저혈당: 인슐린 과다 투여나 불규칙한 식사로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하락
ㆍ혈관 손상: 만성 고혈당은 혈관 내벽을 손상시켜 심혈관 질환, 뇌졸중, 신장병 유발
ㆍ신경 손상: 말초신경병증, 감각 이상, 손발 저림, 통증 등의 신경학적 증상 발생
5. 인슐린 기능을 살리는 당뇨 관리법
● 식이 조절
ㆍ탄수화물 제한 + 섬유질 섭취 증가
ㆍ식사 순서 조절: 채소 → 단백질 → 탄수화물
● 운동
ㆍ운동은 인슐린 민감성을 높임
ㆍ유산소 운동 + 근력 운동 병행이 효과적
● 체중 관리
ㆍ체지방 감소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직접적 효과
ㆍ복부 비만은 특히 주의해야 할 위험 요소
● 약물 및 인슐린 치료
ㆍ제1형 당뇨는 인슐린 투여 필수
ㆍ제2형 당뇨는 경구약 + 필요 시 인슐린 병행
● 스트레스 관리
ㆍ스트레스는 코르티솔 분비로 혈당 상승 유도
ㆍ명상, 심호흡, 규칙적 수면 등으로 조절 필요
6. 결론: 당뇨 관리의 핵심은 ‘인슐린 환경’ 만들기
당뇨병은 단지 “혈당 수치”의 문제가 아니다.
인슐린이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신체 환경을 만드는 것이 당뇨 관리의 본질이다.
인슐린은 ‘혈당 조절’ 이상의 역할을 하는 대사 조정자
식습관, 운동, 체중, 스트레스, 약물 모두가 인슐린 기능과 연관됨
당뇨병은 조절 가능한 질환이며, 완치보다 ‘균형 있는 관리’가 목표
---
필요하시면 해당 주제에 적합한 배경 없는 인슐린 작용도, 췌장 구조도, 혈당 스파이크 그래프 등 이미지도 함께 제작해 드릴 수 있습니다. 원하시나요?
'인체사색(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칼럼] 뱃살의 정체는 ‘근육 부족’이다 (0) | 2025.05.22 |
---|---|
[건강칼럼] 눈앞에 날파리가? 비문증의 원인과 예방법 (0) | 2025.05.10 |
[건강칼럼] 우리 몸의 정수기, 신장을 살리자! – 신장과 순환, 그리고 예방생활의 힘 (0) | 2025.04.24 |
[건강칼럼] Power Hand: 채찍을 든 손, 해부학이 말하는 예술의 진실 (0) | 2025.04.18 |
[인체사색] 후두통, 눈 피로, 목 당김…“문제는 ‘두반극근’부터 시작됩니다”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