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과자세2 [건강칼럼] 왜 골반 관리는 복부와 흉곽까지 함께 봐야 할까? 천골·복강·호흡까지 연결되는 깊은 인체 구조 이야기 "골반이 틀어졌어요""자궁이 차갑대요""허리가 늘 아파요"이런 말들, 요즘은 더 이상 생소하지 않죠.그런데 왜 골반만 관리해서는 낫지 않을까요?바로 골반의 문제는 복부, 흉부, 심지어 호흡 구조까지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골반은 몸의 ‘중심’이자, 천장관절과 복강압 조절의 교차점골반은 단순히 엉덩이뼈가 아닙니다.그 중심에는 천골(Sacrum)과 미골(Coccyx)이 있고,이 뼈들은 복부의 압력, 횡격막, 골반저근육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흉강은 음압(Negative Pressure)으로 형성된 공간이기 때문에,공기가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단단하고 견고한' 상태를 유지합니다.반면 복강은 음압이 아닌 양압(Positive Pressure)에 가까우며내부 장기를 둘러싼 근육(복직근.. 2025. 4. 6. [인체사색] 복부가 유연해야 흉곽과 골반저근이 살아난다 우리 몸의 중심은 어디일까요?복부?골반?흉곽?사실은 이 세 가지가 압력과 움직임, 그리고 구조와 안정성으로하나의 시스템처럼 작동합니다.특히 복부의 유연성과 탄력은 흉곽과 골반저근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흉강(thoracic cavity)과 복강(abdominal cavity), 그리고 압력의 이야기흉강은 늑골(rib), 흉추(thoracic vertebra), 흉골(sternum)에 의해 둘러싸인상당히 견고한 공간입니다.이 구조 덕분에 흡기 시 횡격막이 아래로 내려가도흉강 자체는 잘 변화하지 않고, 내부 압력이 낮아지며 공기를 끌어들입니다.즉, 음압(negative pressure) 상태가 쉽게 유지되는 구조입니다.반면 복강은 후방의 요추(lumbar spine)를 제외하면앞과 옆이 대부분 근육으.. 2025. 3.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