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막연결4

경추와 견갑골의 연결고리, 견갑거근 – 체형과 통증의 해부학적 이해 헬스트레이너와 요가지도자들이 회원을 지도하면서 자주 접하는 체형 문제 중 하나가 바로 '거북목'과 '둥근 어깨'입니다. 이 두 가지 문제는 단지 자세가 나쁘다는 의미를 넘어서, 특정 근육들의 해부학적 불균형과 연결되어 통증과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 중심에 위치한 근육 중 하나가 바로 **견갑거근(levator scapulae)**입니다.견갑거근의 해부학적 구조와 주행견갑거근은 경추 1~4번의 횡돌기(transverse process)에서 기시하여, 견갑골의 상각(superior angle)과 견갑극(spine of scapula)의 내측연(medial border)에 부착됩니다. 이 근육은 두 층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행 방향과 연결 근막에 따라 기능과 통증 양상이 달라집니다.천층 .. 2025. 4. 9.
인두수축근과 설골, 그리고 위장과 두개천골계의 연결성 인두수축근(pharyngeal constrictor muscle)의 해부학적 구조인두수축근은 3가지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부 수축근 (superior constrictor muscle) 혀의 아래쪽 근육에 정지 구인두와 비인두의 움직임과 연결 중부 수축근 (middle constrictor muscle) 설골(hyoid bone)에 부착 설골의 위치는 후두와 혀, 발성에도 관여 하부 수축근 (inferior constrictor muscle) 갑상연골(thyroid cartilage)에 부착 하인두 및 식도 입구의 조임 작용 이 3개 층의 인두수축근은 식도(esophagus)를 감싸고 있으며, 식도는 곧 위장(stomach.. 2025. 4. 6.
보이지 않는 호흡, 뇌호흡을 아시나요? 접형골, 측두골, 하악의 리듬으로 읽는 '1차 호흡'의 신비 “당신은 지금 숨 쉬고 있나요?”그렇다면 질문을 바꿔보겠습니다.“당신의 뇌는 숨을 쉬고 있나요?”인체를 공부하는 당신에게…“뇌는 숨 쉬고 있다.”“숨은 폐만 쉬는 것이 아니다.”“당신의 생각과 감정, 의식조차 그 리듬에 실려 흐른다.”우리는 해부학을 배우며 뼈와 근육의 이름을 외우지만, 진짜 인체를 배운다는 건 ‘생명’의 움직임을 보는 것입니다.생명의 파동, 그 시작은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시작됩니다.지금, 당신의 뇌는 숨 쉬고 있나요?🧠 뇌도 ‘숨’을 쉰다?우리는 보통 호흡이라 하면, 폐의 움직임과 코, 가슴, 배로 이어지는 2차 호흡을 떠올립니다.하지만 정골의학(Osteopathy)이나 두개천골요법(Craniosacral Therapy)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1차 호흡(Primary Respira.. 2025. 4. 4.
허리 통증의 핵심 원인, 천장관절(Sacroiliac Joint)과 골반 축(Pelvic Axis)을 아시나요? "허리가 아프면 애 하나 더 낳고 조리 잘하면 낫는다"는 말, 들어보셨나요?사실 이 말은 옛 어른들의 지혜일 뿐만 아니라, 골반 및 척주 안정화에 대한 해부생리학적 진실이기도 합니다.오늘은 **천장관절(Sacroiliac Joint)**과 그에 연결된 인대(Ligament), 내장기(Viscera), 근막(Fascia),그리고 **출산 전후의 호르몬 변화(Relaxi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이란?**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은 **천골(Sacrum)**과 장골(Ilium) 사이에 위치한 관절로,**요추(Lumbar Vertebrae)**와 **골반대(Pelvic Girdle)**를 연결해주는 구조입니다.이 관절은 다음의 인대들에 의해 안정.. 2025. 3.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