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막경선2 인체의 Whole Body를 연결하는 근막 경선 시스템 근막경선 해부학(Anatomy Trains)은 인체의 근막 네트워크를 통해 근육과 구조적 요소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이는 바디워크 전문가, 체형관리사, 피부관리사 등에게 고객 관리 시 통합적이고 효과적인 접근법을 제공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근막경선의 이해 근막은 근육을 감싸고 지지하는 결합조직으로, 신체 전반에 걸쳐 연속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근막경선은 이러한 근막의 연속성을 따라 형성된 경로로, 각 경선은 특정한 움직임 패턴과 자세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경선을 이해하면 특정 부위의 문제를 다른 부위와의 연관성 속에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요 근막경선과 그 역할 표면후방선(Superficial Back Line, SBL) SBL은 .. 2025. 3. 28. 흉쇄유돌근의 근막경선 연결과 체형·미용적 문제 1. 흉쇄유돌근과 근막경선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SCM)은 목의 전외측에 위치한 중요한 근육으로, 머리의 회전과 기울기를 담당합니다. 토마스 메이어(Thomas Myers)의 근막경선 개념에 따르면, 흉쇄유돌근은 전방선(Superficial Front Line, SFL) 과 측방선(Lateral Line, LL) 에 연결되며, 이는 신체의 전반적인 균형과 체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1. 전방선(SFL)흉쇄유돌근 → 흉골근막 → 복직근 → 대퇴직근 → 경골전면 근막이 경선은 몸의 전면을 따라 연결되며, 지나치게 긴장되면 거북목, 상체 전방 경사, 복부 돌출 등의 체형 변화를 유발합니다.2. 측방선(LL)흉쇄유돌근 → 사각근 → 늑간근 → 장경인대 → 비골근측방선의 불균형은 한쪽.. 2025. 3.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