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과 미용

치통, 꼭 치아 때문일까? " 씹는 근육에서 시작된 얼굴 통증, 저작근과 치통의 관계"

by 바디 디자이너 2025. 5. 20.

 

🦷 치통이 계속된다면, '근육'을 의심하라

치통이 생기면 대부분 충치나 잇몸 염증을 떠올립니다.
하지만 정작 치과 치료를 받아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혹시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 특정 치아가 아닌 관자놀이 주변이 욱신
  • 한쪽 턱이 뻐근하고 아파서 치통처럼 느껴짐
  • 치과 검진 이상 없음, 그런데도 통증이 계속됨

이럴 때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이 바로 ‘저작근’, 즉 씹는 근육입니다.


👤 저작근과 치통의 연결 고리

1. 측두근 (관자놀이 근육)  대표적인 스트레스 근육 

스트레스 받을 때 이마 옆이 뻐근해지나요?
이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면 관자놀이 통증과 함께 치통처럼 느껴지는 통증이 나타납니다.

2. 교근 (사각턱 부위)  ☞ 사각턱을 만들어요!

강력한 저작근으로, 이갈이와 딱딱한 음식 습관에 민감합니다.
지속적인 긴장은 턱 아래에서 치아 전체를 눌러대는 압통을 만듭니다.

3. 내·외익상근 (턱 안쪽 깊은 근육)  ☞  턱관절에서 소리가나요

턱관절 디스크를 움직이고 턱을 열고 닫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이 근육에 문제가 생기면 입을 벌릴 때 소리가 나거나 귀 근처 통증이 생기고,
치아에 쿡쿡 쑤시는 느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악이복근 (혀 밑~턱 끝 연결 근육) 이중턱을 만들어요

입을 벌릴 때 작용하는 이 근육은 삼킴, 발음과도 관련 있어
턱끝에서 시작해 앞니에 통증이 퍼지는 듯한 감각을 유발합니다.


근육성 치통 vs. 일반 치통

 
원인 충치, 염증 등 치아 자체 문제 턱·얼굴 근육의 과긴장
통증 위치 특정 치아에 국한 뺨, 턱선, 관자놀이까지 광범위
반응 씹을 때 통증 심화 스트레스, 자세, 수면 등에 영향
치료 치과치료로 대부분 완화 근육 이완 및 생활습관 개선 필요
 

일상에서 실천하는 치통 예방 운동

1️⃣ 하루 3분! 저작근 이완 마사지

  • 측두근, 교근 부위를 손가락으로 원을 그리며 눌러주세요.
  • 입을 천천히 벌렸다 닫으면서 이완 유도.

2️⃣ 눈동자 운동

눈을 위-아래, 좌-우, 대각선으로 부드럽게 움직이면
측두근과 외익상근 긴장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3️⃣ 수면 전 턱 이완 루틴

혀를 입천장에 붙이고 입술은 살짝 닫은 상태로 이완.
이갈이나 무의식적인 턱 긴장을 막아줍니다.

4️⃣ 식습관 개선

  • 양쪽 치아를 골고루 사용하세요.
  • 딱딱한 음식은 피하고, 껌 씹기 습관 줄이기!

 

🧘‍♀️ 정리하며: 통증의 실마리는 ‘근육’ 속에 있다

치통의 원인을 단순히 치아 문제로만 생각하지 마세요.
스트레스, 자세, 수면 습관, 턱 사용 방식까지…
당신의 얼굴 근육이 보내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근육을 이완시키고, 바른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치통 없는 삶을 충분히 만들 수 있습니다.

 

저작근관리   https://cafe.naver.com/musclebalance/975

 

바디디자이너  윤성광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