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는 단단하게 보이지만, 그 뿌리를 지탱하는 조직이 무너지면 생각보다 쉽게 흔들리고 빠집니다. 충치만큼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는 ‘풍치’, 즉 치주염은 바로 이 치아를 받치고 있는 조직이 망가지는 병입니다. 40세 이후 치아 상실의 가장 흔한 원인이기도 하죠.
치아는 잇몸에 매달려 있다?
치아는 잇몸 위에 고정되어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치주인대'라는 얇고 정교한 섬유 조직이 치아 뿌리와 턱뼈(치조골)를 연결해주는 구조입니다. 이 조직이 스프링처럼 충격을 흡수하고, 잇몸과 뼈의 건강을 유지하는 핵심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염증이 생기면 이 구조는 서서히 무너집니다. 처음에는 별다른 통증도 없고, 눈에 띄는 증상도 없습니다. 그러다 어느 날 치아가 흔들리거나 잇몸이 내려앉은 걸 느끼고 치과를 찾게 되죠. 이미 치아를 잃은 뒤일 수도 있습니다.
풍치의 원인, 치석이 아닌 프라크
풍치의 가장 큰 원인은 '프라크(plaque)'라는 세균성 막입니다. 이 막은 치아와 잇몸 경계에 형성되며, 이 안의 세균들이 잇몸을 붓게 하고 피나게 만들죠. 이를 제대로 제거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면서 석회화되어 '치석'으로 굳습니다. 치석은 또 다른 세균들의 터전이 되어 염증을 심화시킵니다.
특히 고름이 차는 '치주낭'이 형성되면, 협기성 세균이 깊숙이 침투해 치아를 잡고 있는 뼈까지 녹여버릴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있다면 주의하세요
잇몸이 자주 붓고 피가 난다
치아가 길어 보인다 (잇몸이 내려앉았다는 신호)
치아가 흔들리거나 사이가 벌어진다
입냄새가 심하고 씹을 때 불편하다
이런 증상이 있다면 이미 치주염이 진행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치료의 핵심은 ‘칫솔질’
치주염 치료의 핵심은 프라크 제거입니다. 치과에서는 스케일링과 치근 활택술을 통해 깊은 치주낭 속의 세균을 제거합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완전한 치료는 아닙니다. 가장 중요한 건 집에서 매일 하는 칫솔질입니다.
특히 일반 칫솔로는 닿기 힘든 부위, 어금니나 치아 사이는 치간칫솔이나 단일모 칫솔을 함께 사용해야 효과적입니다. 이런 세심한 관리가 습관이 되어야 치아를 오래 지킬 수 있습니다.
예방이 최선입니다
다행히 초기 단계인 ‘치은염’은 올바른 칫솔질만으로 100% 회복 가능합니다. 하지만 한 번 파괴된 뼈는 재생이 어렵기 때문에, 진행된 치주염은 치료로 멈추게 할 뿐입니다. 그래서 ‘예방’이 최고의 치료입니다.
정기적인 치과 검진과 칫솔질 습관이 평생 치아를 지켜주는 가장 간단하고도 확실한 방법입니다.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