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미소를 지을 때 자연스럽게 올라가는 입꼬리.
그 움직임 뒤에는 대협골근이라는 표정근이 있습니다.
어원으로 보는 대협골근
'Zygomaticus'는 라틴어에서 연합 또는 결합을 의미하는 ‘zygon’에서 유래합니다.
즉, 광대뼈와 입꼬리를 결합하여 미소라는 표정을 만들어내는 근육이라는 뜻입니다.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 기시 : 협골궁의 안쪽, 얼굴넓힘근막(SMAS)
- 정지 : 입꼬리 근육층 (입둘레근과 연결)
- 신경 : 안면신경 (제7번 뇌신경)
- 기능 : 입꼬리를 상외측으로 당겨 웃는 표정이나 밝은 인상을 만들어줍니다.
얼굴 디자인 관리에서 대협골근의 중요성
대협골근은 얼굴넓힘줄계통(SMAS)과 연결되어 있어
얼굴의 탄력, 입꼬리의 위치, 표정의 분위기를 좌우합니다.
이 근육의 균형이 깨지거나 기능이 떨어지면
- 입꼬리 비대칭
- 팔자주름 심화
- 무표정, 처진 인상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꼬리 리프팅, 동안 얼굴 만들기, 미소 유도 관리에서는
반드시 대협골근의 기능 회복과 좌우 밸런스를 고려해야 합니다.
임상적 관점
안면신경 마비(예: 벨 마비)와의 연관
- 대협골근은 제7번 뇌신경(안면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 안면신경 마비 시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가 입꼬리의 비대칭 또는 처짐입니다.
- 미소 지을 때 입꼬리가 한쪽만 올라가거나, 움직이지 않는 경우 이 근육의 기능 저하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보톡스, 필러 시술 시 고려점
- 팔자주름이나 입꼬리 리프팅 시 필러나 보톡스를 사용할 경우, 대협골근의 작용 방향과 기시·정지점을 이해하지 못하면 오히려 입꼬리가 내려가거나 어색한 웃음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시술 전 대협골근의 움직임과 표정 습관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면 비대칭과 기능 재활
- 뇌졸중이나 외상 이후 한쪽 안면근이 약화된 경우, 대협골근은 표정 훈련 및 재활의 주요 대상 근육이 됩니다.
- 전기자극 치료, 미세운동 자극, 표정운동 요법 등에서 핵심적으로 다뤄집니다.
관상학적 관점에서 대협골근
웃는 인상 vs 무표정 인상
- 대협골근이 잘 발달되어 있거나 활발한 경우, 웃는 인상, 밝고 긍정적인 인상, 신뢰감 있는 얼굴로 평가됩니다.
- 반대로 대협골근의 움직임이 약하거나 입꼬리가 아래로 처진 경우, 차갑고 무뚝뚝한 인상, 또는 피로한 얼굴로 보일 수 있습니다.
입꼬리 방향과 운세 해석
- 관상에서는 입꼬리가 자연스럽게 위로 올라간 얼굴을 복상(福相), 덕 있는 인상으로 해석합니다.
- 입꼬리가 아래로 향하면 말년 운이 약하고, 불평·불만이 많은 성격처럼 비춰질 수 있다고도 해석합니다.
양쪽 입꼬리 비대칭
- 관상에서는 좌우 입꼬리의 비대칭을 성향 차이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오른쪽이 더 올라간 사람은 외부에 친화적이고 사회성 있는 성향,
왼쪽이 더 올라간 사람은 내면 감정 중심의 섬세한 성향으로 풀이되기도 합니다.
'근육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꼬리와 볼 탄력의 핵심, 협근(Buccinator Muscle)을 아시나요? (0) | 2025.03.31 |
---|---|
"얼굴만 관리하면 늙는다? 데콜테부터 시작하는 동안 리프팅!"; 광경근 (0) | 2025.03.30 |
안면 디자인 관리와 눈가 주름: 안륜근(Orbicularis Oculi Muscle)의 역할 (0) | 2025.03.30 |
교근(Masseter Muscle) 관리 (0) | 2025.03.30 |
내익상근(Medial Pterygoid Muscle) 관리 (0) | 2025.03.29 |